ASF 방역 권역화, 한돈 생태계 마비 우려
ASF 방역 권역화, 한돈 생태계 마비 우려
농가=출하난 가중 및 사육 체계 혼란
업계=종돈 사료 약품 등 수급 불안
한돈협, 농축산부에 개선방안 요구
  • by 김현구

정부의 ASF 방역 권역화 추진으로 한돈 생태계가 교란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농가의 피해는 물론 사료‧종돈‧도축‧육가공업계 등 관련산업도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6일 야생 멧돼지 ASF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을 16개 구역으로 권역화해 돼지와 분뇨의 이동을 제한하는 특별 방역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지난주 정부의 1단계 권역화 조치에 따라 일선 지자체는 영월 발생지점 중심 3개 시도(강원남부, 충북북부, 경북북부)에 대해 돼지 및 분뇨에 대해 반출입을 금지키로 했다. 특히 전북의 경우 해당 지역 돼지고기도 반출입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에 양돈인 및 관련산업 종사자들은 이번 대책이 한돈 생태계를 마비시킬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면서, 향후 정상적인 양돈장 운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16개 권역이 세분화되면서 도축, 종돈 공급, 자돈 이동, 사료 공급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우선 농가들의 경우 방역 시설 설치에 따른 부담 가중은 물론 권역내 출하처 지정으로 출하난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련산업의 경우 종돈업계 는 후보돈 지역간 이동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도축업계 역시 출하 시 권역 내로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도축장에서는 도축 과밀 현상이 불가피하다. 사료업계의 경우도 사료 이동 시 환적장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창고, 벌크차, 기사 확보 등 생산비 증가 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육가공업계도 원활한 돼지 수급이 어려워 가공 작업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의 권역화 정책이 야생 멧돼지 방역에서 일반 양돈농가로 방역 강화로 연결되면서 방역의 책임을 농가에게 전가하려 한다고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정현규 도드람양돈농협 동물병원장은 “정부는 권역화 추진을 사전에 검증하지 않고 추진하면서 한돈산업이 큰 혼란에 휩싸였다”며 “야생 멧돼지 ASF 확산으로 사육돼지 방역 강화를 위해 권역화로 연결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료업계의 한 관계자도 “권역화 이후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물류 서비스의 어려움과 환적장 설치, 벌크차 및 운영비 등 연간 30억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한돈협회는 지난 20일 농림축산식품부를 방문 권역화 반대의 입장을 전달하면서, 부득이하게 권역화 관리가 필요할 경우 도별 5개 대권역으로 구분하는 등 농가 피해 최소화를 강력 요청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