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ASF 상재화 막을 '골든타임'
올 겨울 ASF 상재화 막을 '골든타임'
발생 흐름 CSF와 유사 분석
사전 차단 강화로 남하 저지
  • by 김현구
최근 야생멧돼지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흐름이 CSF(돼지열병)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야생멧돼지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흐름이 CSF(돼지열병)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야생 멧돼지에서의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패턴이 예상대로 돼지열병(CSF) 발생 흐름과 유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특별한 대책이 없다면 돼지열병 흐름과 같이 1년 후 충북, 경북 북부 지역으로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올 겨울이 전국 ASF 상재화를 막을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지적이다.

FMD‧돼지열병박멸위원회에 따르면 야생멧돼지서 돼지열병 항원‧항체 검출 지역은 2016년 이후 경기 연천, 철원, 강원도 인제, 영월, 홍천, 동해, 양평으로 동남진하고 있다. 특히 올 7월 경북 문경 및 충북 충주에서 포획된 야생멧돼지서 돼지열병 항원‧항체가 검출되면서 내륙지역으로 남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분석 결과 2017년부터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검출되는 유전자 타입과 동일, 경기도와 강원도 내 지속적 순환감염이 추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볼 때 최근 야생 멧돼지 ASF 발생 흐름이 이와 상당히 유사하다. 지난해 10월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에서 최초 발생이후 동→서, 북→남쪽 방향으로 점진적 확산추세를 보이며, 11월 들어 춘천, 가평, 포천에서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향후 야생 멧돼지서 ASF 발생 지역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돼지열병이 지난해 강원도에서 태백산맥, 소백산맥, 차령산맥을 따라 올해 충북 충주 및 경북 문경 등 내륙지방으로 남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1년 후 내륙지방에서도 ASF가 검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야생 멧돼지 소탕 등 특단의 조치가 시행되지 않는다면 ASF 상재화로 접어들면서 전국이 ASF 발생 위험 지역이 될 수 있다는 경고, 환경부가 ASF 확산과 재발방지를 위해 하루 속히 야생멧돼지의 남하 저지를 위한 유례없이 강력한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