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경남 ‘문턱’…차단방역만이 살길
ASF 경남 ‘문턱’…차단방역만이 살길
부경양돈농협 ASF 방역 세미나 개최
강원대와 위험도 분석 및 대응 연구
11월~내년 5월 사이 발생 가능성 커
농가 스스로 철저한 차단방역 실천을
  • by 임정은

ASF가 경남 유입 문턱에 와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에 경남도 양돈농가들의 철저한 차단방역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은 지난달 25일 김해시 소재 JW웨딩컨벤션에서 ‘부경양돈농협 ASF 방역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부경양돈농협이 강원대 수의과대학과 협력해 진행한 ‘경남 ASF 발생 위험도 분석 및 확산 차단 대응 방안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기 위한 자리로 이날 이 같은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그 어느 곳에서도 ASF에 대한 뚜렷한 출구전략이 제시되지 못한 현 상황에서 아직 비발생 지역인 경남지역의 방역 대책을 고민하기 위한 이번 세미나의 첫 번째 주제발표는 이번 연구 사업을 수행한 강원대 수의과대학 박선일 교수가 진행했다.

박 교수는 “ASF가 2019년 9월 경기북부에서 국내 처음 발생한 이래 현재까지 감염 야생 멧돼지 발생지역은 계속 남하하며 2023년 8월 경북 안동, 영덕까지 이르렀다. 발생 초기에는 야생 멧돼지에서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2023년 접어 들어서는 연중 발생하는 패턴으로 변했다”고 말하며 ASF 발생현황 및 역학적 특성을 설명했다.

특히 ASF 양성 멧돼지 발견이 방역 당국의 수색 보다는 주민 신고로 검출된 사례가 전체 양성건수의 50%를 상회하고 있다며 정부의 선제적 예찰 부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무엇보다도 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2023년 11월부터 2024년 5월 사이 경남지역에서도 ASF 발생 가능성을 강력하게 추정하면서 유효한 차단방역 방안을 제시하고 농가 스스로 철저한 차단방역에 임할 것을 강조했다.

두 번째 주제발표는 돼지와사람 이득흔 편집국장이 ‘우리나라 ASF 관련 10가지 질문’이라는 주제로 ASF로부터 내 농장과 한돈산업을 지키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우리나라 ASF 정책 목표가 무엇인지, ASF 박멸 가능성은 어떠한지, 8대 방역시설의 의미 등 ASF 관련 현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보는 시간으로 발표가 이뤄졌다. 또 향후 ASF 진행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책을 제시했다.

경남도청 강광식 동물방역과장은 격려사를 통해 “부경양돈농협이 경남지역 ASF 발생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연구사업을 시행하고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것은 양돈인 스스로 자구적 방역노력에 최선을 다하는 고무적인 행사”라며 경남도와 관계 기관들도 ASF 차단 방역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식 조합장은 “ASF 전파 매개체인 감염 멧돼지의 사체 발견 장소가 계속 남하하면서 경남지역도 더 이상 ASF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해 연구사업을 진행하게 됐다. 오늘 세미나는 지난 6개월간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뜻 깊은 시간”이라고 밝히며 ASF 차단방역에 양돈농가 스스로 더욱 힘써주기를 당부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