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동거’ 시대...돼지 살리는 정책으로
ASF ‘동거’ 시대...돼지 살리는 정책으로
예방살처분 마릿수 전체 82%
발생농가=32곳, 피해농가=244곳
부분 살처분 등 살처분 최소화를
ASF 전파 느려, 돼지는 경제적 동물
  • by 김현구

ASF 발생 4년 째,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지속 확산되는 가운데 양돈장 돼지의 경우 살처분보다는 최대한 살리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ASF 발생 농장 및 주변의 살처분 범위를 조정, 특히 전두수 살처분 정책에서 부분 살처분 정책으로 전환도 이제는 검토해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2019년 9월 국내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이후 3월 9일 기준 양돈장 발생은 32건, 야생멧돼지는 2천903건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 3년6개월간 ASF 발생으로 인한 돼지 살처분 마릿수는 약 47만두로 이 가운데 전체의 82%에 해당하는 38만마리는 전파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살처분 마릿수다. 이에 ASF 양돈장 32건 발생에 비해 예방적 살처분 농가는 244개 농가로 8배 많아, 과도한 방역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같이 ASF 발생농가보다 예방적 살처분 발생 피해 농가가 앞으로 더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ASF 청정화를 위해 농장 전두수 살처분보다 부분 살처분, 더 나아가 감염 개체만 골라내 살처분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방안은 2019년 11월 주한수 미네소타 주립대학 전 교수가 국내에 제안한 감염된 개체만 빨리 솎아내는 ‘Test&Removal’법. 이 방법은 감염돈의 조기 검출을 위한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통해 ASF 청정화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당시 중국 대군 농장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시 상황은 국내 ASF 정보가 빈약한 가운데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주장으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다시 해외 ASF 상황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수의전문가들에게서 새로운 살처분 정책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태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에 머무르며 양돈 수의 활동을 하고 있는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고문은 “동남아 국가에서는 현재 ASF 감염 농장에서 양성돼지만 살처분하는 방법을 성공한 농장도 있고, 실패한 농장도 있다”며 “동남아국가와 우리나라의 사정은 다르고, 동남아처럼 ASF가 만연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도 최악에 대비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방법은 향후 ASF 여러 상황이 나빠졌을 때의 시나리오의 하나로 검토, 준비할 사항이라고 개인적 사견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이 수의 전문가들은 돼지는 경제적 동물이기 때문에 정부 정책은 살처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추진해야되며, 향후 전두수 살처분 정책에서 부분 살처분 정책으로 전환 검토등 ASF 동거 시대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