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 생산성, 산자수 제고서 시작돼야
한돈 생산성, 산자수 제고서 시작돼야
선진국 산자수 15 넘은지 오래
한국 10.95, ‘마커’ 기술 활용
  • by 임정은

국내 양돈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는 수태율이 높은 수퇘지를 선발, 활용함으로써 산자수를 지금보다 더 높이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앙대 방명걸〈사진〉 교수는 최근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국내 양돈 생산성 제고 방안과 관련, 이 같이 강조했다. 방 교수는 양돈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산자수는 많지만 폐사율이 높아 MSY가 낮다’는 전제하에 폐사율에만 집중하고 있지만 정작 산자수도 유럽 양돈선진국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실제 지난해 한돈팜스 농가 평균 복당 산자수는 10.95두로 이미 15두를 넘은지 오래인 덴마크 등 유럽 선진국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방 교수는 “지금의 산자수로는 폐사율만 낮춰서 유럽 수준의 성적을 따라잡기는 어렵다”며 양돈 생산성 제고를 위해 산자수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번식이 인공수정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국내 양돈 현실을 고려할 때 수퇘지의 수태능력이 산자수 제고, 더 나아가 양돈 생산성에 더 실질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방 교수는 수퇘지의 수태능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마커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특히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지원으로 이뤄진 관련 연구 논문이 최근 세계 수의학 분야에서는 상위 10%에 속하는 최고 권위의 학술지 ‘Theriogenology’에 게재돼 국제적으로도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미국, 영국, 스페인 등으로 이미 수차례 초청 특강을 다녀올 만큼 다른 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높다는 게 방 교수의 설명이다.

방 교수는 “폐사율 이전에 낮은 산자수를 높이는 것에서부터 양돈 생산성 제고 노력이 시작돼야 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높은 산자수의 수퇘지를 선발, 활용하는데 보다 높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