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방역, 예방적 살처분 능사 아냐”
“ASF 방역, 예방적 살처분 능사 아냐”
ASF 양양 단지 2만여두 살처분
동일한 생활권 확산 방지 위해
한돈협 “멧돼지 제로화” 촉구
  • by 김현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적 살처분, 이동제한 등 농가 규제 정책보다 ASF 오염 지역 내 야생 멧돼지 사체 색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지난 12일 강원 양양군 소재 돼지농장의 돼지에서 폐사가 발생(23마리)하여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확인됐다. 올해 들어 4번째이며, 양돈장 누적으로는 32번째 발생이다. 방역당국은 이번 양양 양돈장의 경우, 양돈단지에 발생한 점을 감안해 양돈 단지 내 농장 모두 예방 살처분키로 했다. 살처분 두수는 약 2만여마리에 달한다.

이를 두고 한돈업계는 정부가 또 다시 예방적 살처분을 결정, 농가들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단지 내 농장의 경우 ASF 정밀 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으며, 방역대 설정으로 이동제한이 시행되므로 방역대 기간인 30일간 모니터링 후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부는 단지 내 모든 농장이 동일한 방역 환경인점을 고려, 만일에 있을 확산에 대비해 살처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새우며 예방적 살처분 조치를 내렸다.

이와 관련, 수의 전문가들은 ASF 바이러스는 감염이 빠른 질병이 아니므로, 먼거리 전파 가능성은 낮다고 즈장하고 있다. 이에 ASF 예방적 살처분은 해법이 아니며, 대안으로 ASF 예찰 및 검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돼지는 경제적 동물이기 때문에 살처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방역 정책을 전환, 전두수 살처분 정책에서 부분 살처분 정책으로 전환해도 사육돼지의 경우 ASF 청정화가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돈농가들도 올 들어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불안함을 토로하며, 정부가 멧돼지 퇴치 근본 대책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한돈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올해 연이은 ASF 발생은 ASF 야생멧돼지 통제에 책임을 지는 환경부의 정책 실패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협회는 "ASF는 사육돼지 감축과 살처분, 이동제한 등 규제 위주의 정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환경부는 ASF 재발로 위기상황인 경기 북부와 강원도는 야생멧돼지 제로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야생에서 멧돼지 감축을 위해서는 3년동안 매년 75%씩 감축해야 한다는 현장 전문가와 한돈협회의 의견을 수렴하는 내용의 야생멧돼지 근절대책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