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축사 증가 폭 둔화…지원 시급
스마트 축사 증가 폭 둔화…지원 시급
농경연, 작년말 5천호 넘어
전체 축산농 대비 5% 점유
27년 30% 목표치 미달 우려
  • by 김현구

정밀축산을 가능케하는 스마트 축사가 매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 폭은 둔화되면서 스마트 축사 확대를 위한 전폭적이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근 전세계는 관행 농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산업 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농업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농업의 패러다임‧프레임 변화 양상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기별 농업의 패러다임은 80년대 노동집약에서 90년대 들어 토지 집약으로 변화, 2000년대는 자본 집약이 주도하는 프레임을 형성했다. 그러나 첨단기술 발달을 계기로 2020년대 들어 농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로봇을 활용한 정밀 농업과 스마트 농업 등 자본과 첨단기술이 집약된 농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국내 축사도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산업혁신연구본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스마트팜 축사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7년 기준 축사 스마트화 농가는 801농가서 매년 꾸준하게 증가세를 유지하면 22년에는 5천호가 넘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전체 축산농가의 5% 수준으로 스마트팜은 한돈 및 한우농가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기조를 반영해 농림축산식품부도 연초에 축산 분야 스마트팜을 오는 27년까지 전체 축사의 30%로 확대키로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의 목표치와 달리 스마트팜 축사 증가 속도는 차츰 둔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 국내 스마트팜 업체 및 수요 시장 모두 영세하고, 기술 수준도 주요 양돈 국가보다 낮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팜 도입에 있어 비용 부담이 크고 도입 이후에도 경영비 등 운영비 부담이 높아, 수익 증가 불확실성이 이유에서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의 축산 스마트팜 확산 30% 확대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장기 저리 지원 등 전폭적인 지원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