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자-농가 괴리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자-농가 괴리
소비자 70% 복지 축산물 선호
10~20% 추가 가격 부담 의사
실제 가격 비싸 구매 기피 현상
농가 투자 늘고 추가 수익 없어
직불금 도입 등 정책 지원 필요
  • by 김현구

소비자 상당수가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를 위해 10% 더 지불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럼에도 양돈의 경우 동물복지 전환 시 수익성이 낮고 정부 지원도 쉽지 않아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농가와 소비자간 괴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팜스플랜을 기반하고 있는 축산 스타트업 기업 ‘한국축산데이터’는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가 보유 중인 축산물 마켓 '굴리점퍼' 이용자 510명을 대상으로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 중 67.6%가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해 ‘매우 선호한다’ 또는 ‘선호한다’라고 답했다. 아울러 응답자 60%가 ‘일반 축산물 대신 동물복지 축산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쓰겠다’고 답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추가로 부담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해서는 ‘10% 이하’라고 답한 응답자가 47.1%로 가장 많았다. 27.3%는 ‘5% 이하’라고 답했으며 19.4%는 ‘20% 이하’까지 추가로 가격을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에 송신애 한국축산데이터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은 “동물복지와 식품안정성 등의 가치를 고려해 동물복지 축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축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실제 가축 사육 현장에서 동물복지가 제대로 실현되는지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응답과는 달리 돼지고기의 경우 ‘가격’이 구매를 좌우한다. 이에 정작 현장에서는 동물복지 축산물 증가 시 실제 소비 증가로 이어질지 현장에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동물복지 축산 중 양돈복지 인증 농가는 22년 기준 16곳에 불과하다. 특히 늘기는커녕 동물복지 인증을 반납하는 농가수가 매년 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동물복지농장 수익이 저조하며, 전환 하고 싶어도 정부 지원을 받기 어려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2020년 발간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동물복지 인증 농장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경제성이 있어야 하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추가 투자에 대한 비용 부담과 소득 감소 등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동물복지 인증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유럽의 경우 동물복지 축산물은 일반 축산물에 비해 2~3배 높은 금액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아울러 일부 양돈 복지 농장 전환 시도 농가의 경우 돈사 허가 문제와 축사시설현대화사업, CCTV 지원사업 등에 지원했으나 소규모 농장이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빈번하는 등 정책 지원도 쉽지 않다.

이 같이 소비자들의 동물복지 축산물 바람과는 달리, 농가의 경우 투자에 비해 낮은 판매 가격 책정, 정부 지원 미미 등이 겹쳐 현재 국내 동물복지 축산 확산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결국 과거부터 논의되었던 동물복지 축산 직불금 제도 도입 등 인증농가들에 대한 지원이 선제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