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자율 방어 양돈장 모델 제시
ASF 자율 방어 양돈장 모델 제시
경기연구원, 방역 강화 위해 개발
  • by 임정은

경기도가 최근 ASF 등 재난성 전염병으로부터 강력한 방어능력을 갖춘 ‘방역강화 농장모델’을 제시했다. 올해 2~8월까지 경기연구원을 통해 ‘ASF 발생에 따른 농장단위 예방 및 대응모델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한 결과다.

도는 이번 연구결과를 중앙부처에 건의해 관련 예산을 확보, 경기북부를 우선으로 강화모델이 적용된 신축농장들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농장은 표준모델을 참고해 농장구획 등의 시설보완을 추진키로 했다.
이번 연구는 ASF의 재발방지와 원천적인 차단 방역을 위한 농장 중심의 ‘자율 방역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에 따라 양돈농장마다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농장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됐다. 

‘방역강화 농장모델’을 살펴보면 내·외부 울타리를 설치해 구역을 나누고 내부 울타리 안에서도 돈사경계를 기준으로 준청결구역과 청결구역으로 나눴다. 아울러 차량과 사람, 사료 등이 드나드는 통로를 구분하도록 하고 농장 내에 방역실, 밀폐형 돼지이동통로, 차량 및 사람 대상 소독시설, 축산폐기물 보관시설, 입출하대, 물품반입시설 등을 함께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또 이달 중 시행예정인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농장들이 반드시 설치해야 할 내·외부 울타리, 방조·방충망, 방역실 등 11개 방역시설들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경기도는 이 모델과 함께 현장 중심의 차단방역, 농장 단위 방역시설개선 컨설팅·교육, 지역 단위 방역전략 수립, 야생멧돼지 감염확산 억제, 북한과의 공동 방역체계 구축 등을 함께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경기도는 연구 결과를 중앙부처에 건의, 관련 예산을 확보해 경기북부를 우선으로 강화모델이 적용된 신축농장들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농장은 표준모델을 참고해 농장구획 등의 시설을 보완하도록 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농장 중심의 예방적 차단방역이 가장 효과적이고 원천적인 해결방법”이라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방역시설 개선 지원, 농장별 맞춤형 컨설팅 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