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현장/이승윤]구제역 단계별 안정화 방안 찾아 실천을(3/3)
[양돈현장/이승윤]구제역 단계별 안정화 방안 찾아 실천을(3/3)
  • by 양돈타임스
[양돈현장]구제역 단계별 안정화 방안 찾아 실천을

이승윤 박사 / 한별팜텍 대표

2014년 12월 발생한 구제역이 2016년 1월 김제, 고창에 이어 2월 공주와 천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답답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 2014년 12월부터 만 1년을 넘겼으므로 이제는 광범위한 지역이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구제역 발생신고에 놀라기 보다는 여유를 갖고 어떻게 하면 단계적으로 구제역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지 방안을 모색해보자.
단계적인 구제역 안정화 방안은 인근 구제역 발생국에서도 사용되는 PCP(Progressive Control Pathway)-‘점진적 컨트롤 과정’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을 소개하자면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이 심각한 상재국에서 구제역 피해를 줄이고 바이러스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뒷받침 할 목적으로 국제식량기구(FAO)가 개발한 방법이다. 이후 적절한 컨설팅을 받아서 국제식량기구(FAO)/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공동의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을 적용할 때는 아래 기본을 지킨다.
△적극적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어떻게 순환되고 있으며, 어떻게 순환되는지 모니터링 할 것인지, 어떤 경로로 매개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구제역 역학에 관해 충분히 이해되어야 컨트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컨트롤 프로그램은 적용하면서 과연 유효한 프로그램인지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미리 설정해놓아야 한다.
△각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 단계마다 적절한 노력들을 통해 바이러스 순환을 감소시켜야 하고 질병위험을 경감시켜야 한다.
△구제역 컨트롤 프로그램에 대한 뒷받침과 지원은 최적화되고 충분해서 꼭 필요한 포인트마다 통제방법들이 딱 들어맞도록 해야 한다.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은 국가나 지역마다 그 상황과 환경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똑같지는 않다. 그리고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은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와 연관되는 사람들의 지원이 없으면 진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결 같은 농가와 연관되는 사람들의 지원이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의 성공 열쇠다. 정부 혼자서는 성공하기 어렵다.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 0단계에서 5단계로 6단계로 나뉘어있다. 지금 현재 한국은 0단계나 1단계라고 판단된다. 한국이 지금 할 일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어떻게 돌아다니는지 연구하고 그 위험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어떻게 위험요소를 컨트롤할까 방법을 선택하고 위험요소를 컨트롤 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구제역의 점진적 컨트롤과정(PCP-FMD)의 진행단계를 개인적으로 설정 및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와 돼지 등의 우제류 관련사항을 파악을 해야 한다. 농가들 위치, 농가별 사육두수, 시군별 사육 두수, AI센터 위치, 종돈장 위치 및 도축장 위치, 가공업체 위치, 야생우제류 사육 분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전국의 양돈장 및 관련 회사 등을 파악한다. 발생 농가 위치, 발생 시기, NSP양성 확인일 등을 파악해야 한다.
셋째, 전국을 시군별로 오염지역과 경계지역과 비오염지역 등으로 농가를 구분한다.
다섯째, 구제역 바이러스의 각 요소별 역학관계를 분석하여 파악한다. (역학관계 업체 등 즉 출하 도축장들, 도축장 출하차량, 외부 비육장들, 자돈구매 농가들, 종돈구매 농가들, 정액구입AI센터, 야생 우제류 이동경로 등)
여섯째, 구제역바이러스의 주된 전파경로를 파악한다. 감염가축, 가축운송차량, 비료(퇴비) 등이 될 수 있다.
일곱째,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경로 차단방법을 파악한다. (예:감염가축-예찰, 가축운송차량-뜨거운물 세차+유효소독제 충분한 접촉시간 부여-10분<, 비감염가축-백신접종, 오염지역-백신강화, 비오염지역-가축,분뇨,운송차량 유입차단)
여덟째, 구제역 발생에 따른 손해액 계산. (예 : 감염 시 피해액, 백신 구매비용, 백신접종으로 인해 증체불량, 번식성적저하 및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손해)
아홉째,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전파특성 연구 (예 : 구제역 감염 후 방어형성기간, 백신접종 시 예상 방어율%, 백신 접종 후 방어면역형성기간, 유효백신 접종횟수와 방어면역지속기간, 발생돈 방어면역지속기간, 농가, 출하차, 도축장의 구제역 바이러스 오염도 확인 , NSP 항체 양성돈 항체지속 기간 등)
열번째, 지금까지 여러가지 구제역 관련해서 백신접종 농가를 포함한 관련인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교육실시
열한번째, 구제역NSP 검출지역(시군)단위 지역단위로 청정화 (예:구제역백신접종 강화(발생지역3회) + 소독강화실시 + 일령병 모니터링 - 임상증상 및 NSP 양성돈 농장내 제거시 청정농장으로 분류)
열두번째, 구제역 안정화. 감염흔적이 없는 농장이나 시군 전체가 구제역 안정화 달성 시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구제역이 1년을 넘기면서 피로하기도 하고 모두가 자포자기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구체적으로 밑그림을 그려서 단계별로 구제역을 안정화 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