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방역 또 방역으로 멍든 돼지 값, 응어리진 마음 풀어야 (2/26)
기획특집/방역 또 방역으로 멍든 돼지 값, 응어리진 마음 풀어야 (2/26)
  • by 김오환
기획특집/방역 또 방역으로 멍든 돼지 값, 응어리진 마음 풀어야
구제역 재발하면 한국 양돈업 대만 꼴
"이상 기후로 재발 가능성 배제 못해"
소독·출입자 통제 등 철저한 방역 요구돼

내달 26일이면 한국에서 구제역이 66년만에 재발된 지 만3년 되는 날이며, 5월 2일은 또 발생한 지 1년이다. 그 동안 양돈농가와 정부, 관련 업계의 재발방지를 위한 각고의 노력 끝에 작년 11월 29일 국제수역사무국(OIE)으로부터 청정국 지위를 다시 회복했다. 그럼에도 한국산 돼지고기 수출 최대 시장인 일본에는 아직도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만에 하나 한국에서 구제역이 또 다시 발생한다는 생각만 해도 끔직하다. 지금까지 모든 노력이 헛수고로 돌아갈 뿐만 아니라 특히 양돈산업은 대만과 같은 처지로 전락할 지 모르기 때문이다.
사실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각국의 피해를 보면 어마어마하다. 97년 구제역이 발생한 대만은 2000년까지 산발적으로 발생해 돼지 470만마리 등 가축이 도살돼 약 41조원에 이르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고 2001년에 구제역이 발생한 영국 역시 돼지를 비롯해 양, 소 등 1천84만9천마리를 살처분함으로써 14조4천억원의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2000년 3월부터 4월 23일까지 22일간 경기 파주 등 6개 시군에서 15건이 발생, 182농가에서 2천223마리가 살처분돼 3천억원에 이르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작년 5월 16농가에서 발생, 돼지와 소 16마마리가 살처분돼 1천500억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OIE는 우리 나라가 구제역 등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축산업 총 생산액의 20∼24%인 1조2천억원 정도 손실을 입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구제역 발생으로 돼지고기 돈육 수출 중단과 이에 따른 재고량 증가로 국내 돈가 하락을 계산하면 그 피해액은 1조원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올해도 구제역 재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예상하고 3월부터 5월까지를 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국경검역 강화는 물론 양축농가에 대해 철저한 소독을 당부했다. 정부는 구제역 재발 역학조사 결과, 유전자 분석상 바이러스는 '아시아 01형'으로서 중국 등 동북아지역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발생원인으로는 중국 등 해외여행을 통한 유입가능성과 외국인 근로자를 통한 유입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파는 오염된 사람, 차량, 기타 매개체(파리 모기 쥐)에 의해 기계적 전파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정부와 관련업계는 올 봄 중국에서 10여 차례 황사가 몰아칠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에 따른 방역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황사 예고 시 가축먹이에 황사가 접근할 수 없도록 비닐로 막는 동시에 이것이 끝나면 세척을 당부했다. 또한 이번 겨울철 날씨가 예년에 비해 따듯해 바이러스가 또 다시 나올 수 있다며 철저한 방역을 당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각 분야별 가축방역 준수사항을 마련, 배포했다.

△양축농가 = '내 농장은 애가 지키자'라는 슬로건 아래 소독과 차단방역만이 가축질병을 극복한다며 주 1회 이상 농장 안과 밖을, 농장 출입장 및 차랑·기구 등을 소독하고 특히 차량 소독여부를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가축운반자의 축사 내 출입을 금지하고 외출 후 귀가 시 반드시 손과 신발을 소독토록 당부했다. 아울러 소독약 사용요령을 준수하는 동시에 희석비율을 정확히 지키고 서로 다른 소독약과 혼합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이상 증세 발견 시 즉시 신고를 요청했다.
△사료운반자 및 사료업체 = 운반자는 출입 시 차량소독하고 관리자 확인을 받고, 농장 입구에서 소독을 실시하고 농장주에 확인 받도록 했다. 농장주에 '소독강화지도카드'를 제시, 농가를 지도하고 월 1회 이상 사료 운반자에 대한 교육을 업체에 당부했다. 사료공장 출고 시 소독실시 확인 후 관리 대장에 기재한 다음 출고할 것을 제시했다.

△가축운반자 및 도축업체 = 운반자는 도축장 출입 시 차량 소독하고 관리자 확인을 받고 농장 입구에서 소독한 다음 농가 확인을 당부했다. 운반자는 가축출하(돼지몰이)를 위해 축사 내부로 들어가지 말도록 당부했다. 도축업체는 월 1회 이상 가축 운반자에 대한 교육을 당부하고 도축장 진입할 때 소독, 가축하차, 세차 및 소독여부를 확인 받도록 했다. 소독실시대장을 지참, 가축을 운반하고 소독확인은 관리자 또는 검사원이 실시토록 했다.

△인공수정사, 동물약품 = 운반자는 농가 진출입 시 차량 소독을 2회 실시하고 축사 내부에 들어가지 말도록 했다. 동물약품과 정액공급은 농장 밖에서 전달하고 소독실시대장을 지참, 농장주로부터 소독 여부를 확인 받도록 했다. 업체는 운반자에게 월 1회 이상 교육을 당부하고 차량별로 소독장비를 보유토록 했다. 운반자에게 소독실시대장을 지참토록 했다.

구제역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지난해 구제역 발생 시 사람과 차량에 의해 확산됐음에도 이들에 대한 관리 소홀과 경로별 대책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까치나 비둘기 등에 대한 검사 결과 전파 매개체가 아니었다고 분석됐지만 야생조류에 대한 검사 관리가 소홀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효과적인 일선 방역체계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전국 232개 시군 가운데 가축방역 전담수의사(가축방역관)이 없는 시 군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읍 면 단위에는 축산담당자가 없어 체계적인 농가 관리가 어렵고, 지방자치단체 실시 이후 지자체가 중앙정부의 지시와 방역조치에 대한 이행조치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국경검역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관계부처간(건설교통부 관세청 해양경찰청 등) 상시협력체계가 미비하여 공항만을 통한 불법휴대육류 무단반입 및 축산물 밀수입에 대한 철저한 단속이 안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때문에 업계관계자들은 민(民) 관(官) 산(産)이 삼위일체되어 구제역 재발 방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축방역 조직체계를 국가방역 행정조직체계로 일원화하고 민간 자율방역체계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고 있다. 특히 농장단계 방역위생 시설확충과 기능강화를 위해 축산농장의 품질위생생산체계 구축과 원산지 생산지증명서 발급을 의무화하고 농장방역의 책임관리 시스템 도입을 주장했다.
아울러 축산물 위생검사와 가축방역업무를 연계 추진하여 축산식품에서 농장추적 확인시스템을 개발하여 질병을 추적 검색하고 축산물 위생검사 철저를 주장했다. 또한 중국 호주 등 주요 농축산물 수출국에 해외동물 검역관을 배치하여 현지 검역제도를 확립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