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양돈 재건 해법]“백신정책 성패가 양돈업 재건 성패 좌우”(3/8)
[기획특집-양돈 재건 해법]“백신정책 성패가 양돈업 재건 성패 좌우”(3/8)
  • by 양돈타임스
[기획특집-양돈산업 재건 해법]
전문가에게 듣는다(1) 전흥우 양돈산업재건위원회 위원장

“백신정책 성패가 양돈업 재건 성패 좌우”

○…구제역 이후 양돈산업의 미래가 불안하기만 하다. 살처분 330만마리, 돼지를 매몰한 농장은 2천여호다. 그 후폭풍이 감히 상상이 안 되는 피해 규모다. 하지만 이번에도 양돈인들은 시련을 이겨내고 다시 일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미 구제역 이후 양돈업 재건을 준비하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일고 있다. 이에 양돈타임스는 양돈업 재건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업계 주요 인사들에게 양돈산업 재건 방안에 대한 지혜를 들어보는 기획특집을 마련했다. 그 첫 번째 인사는 전흥우 양돈산업재건위원장이다…○

출하 130kg으로 늘려 공급 확대해야
F2 재입식 양돈업 미래 고려해 신중을
체계적인 방역시스템으로 사후 예방
교육과 구제역 새 매뉴얼 제작 보급

구제역은 백신접종에도 불구, 여전히 꺾이지 않고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이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에 양돈농가들은 전의를 상실, 주름살이 한줄 한줄 생기다 못해 깊게 패여 가고 있다. 양돈산업은 현재 돼지 320만두가 매몰되면서 관련 산업등 약 6조원의 경제적 피해가 예상, 재건을 위해 어느 실부터 풀어야할지 막막하다. 이에 협회는 최근 ‘양돈산업 재건위원회’를 발족하여 농가부터 관련 업계까지 총 망라하여 참여, 재건에 시동을 걸었다. 재건위원회의 원활한 순항을 위해서 전흥우 재건위원장을 만나 향후 재건위원회의 활동과 재건 방안에 대해 물었다.
“양돈업 재건을 위해서는 자급률 회복과 백신정책의 수립이 큰 관건이다”
전 위원장은 양돈산업이 구제역 이전으로의 회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급률 회복과 함께 체계적인 백신정책의 수립을 주문했다. 그는 돼지 두수 감소로 인한 국내 돈육 자급률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국내육 대체로 쓰일 수입육의 가격 변화에 주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급률 조기 회복 방안으로 “현 출하체중 110~115kg을 130kg으로 늘려 출하해야 된다”며 출하체중을 늘리면 생산량이 20%늘어나는 효과가 발생, 두수감소로 인한 생산량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 또한 그는 “출하체중이 늘어도 육질 및 맛에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하며 양돈농가들의 여론 형성 시 시장 또한 이를 받아들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또 백신정책의 성패가 향후 양돈산업을 좌지우지 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현재 위원회에서는 백신정책 2가지의 시나리오를 생각하고 있다”며 첫째, 백신정책을 계속유지 시, 둘째, 백신정책에서 미백신 청정화로의 계획으로 변경할 시에 대한 경우를 설정하여 상황에 맞는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란 것이다. 또한 백신사용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의 부작용이 생길 것을 염려, 이에 대한 연구 활동이 수반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농가들은 돼지가 없는 빈 돈사를 바라보며 한숨짓지 말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회로 삼아야한다.”
전 위원장은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며 비(구제역)가 지나가면 농가들은 더욱 강하고 굳세게 될 것을 예상하며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건의 첫째 단계인 재입식을 위해 각 농장에 맞는 시설 보완 및 PRRS 음성돈 입식을 주문했다. 그는 “구제역의 파고를 넘으면 FTA라는 큰 벽을 다시 넘어야한다”며 FTA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입육과의 경쟁력을 위해 생산성 제고가 뒷받침 되어야 되는데 지금 시기가 적격이라는 것. 그는 또 현재 재입식을 위해 F2가 거론되고 있는데 이는 양돈산업의 미래를 내다보면 ‘퇴보’를 가져올 것이라 말했다. F2는 생산성 저하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불필요하다며 시간이 조금 더 걸릴지라도 F1을 입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신 제조회사에 우리 타입에 맞는 백신을 의뢰해 사용해야한다.”
전 위원장은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감염된 개체의 분리주로 제조한 백신을 사용할 경우 구제역 방어력이 우수하다”며 대만의 경우 자국내 유행하는 구제역 바이러스주로 제조한 백신을 사용해 구제역을 종식한 사례를 거론, 한국 또한 자체 분리주 백신을 신속히 도입하여 양돈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같은 주장을 위원회 차원에서 공감한 결과,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 중이라고 말했다.
“국가와 농가의 방역시스템을 보완과 동시에 체계적인 방역시스템으로 거듭나야한다.”
전 위원장은 이번 구제역 사태를 바라보면서 방역에 많은 허점이 있는 것을 꼬집었다. 그는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은 철저한 방역이 필요하다”며 도로 등에만 형식적으로 방역을 할 것이 아니라 발생농장을 이중 삼중으로 소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백신정책을 계속 유지할 시, 구제역이 발생한 경우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반경을 정해 고위험농가의 살처분 과 동시에 반경 10km이내 백신을 접종하고 한 달 동안 이동제한을 하자고 말했다. 그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돼지는 구제역 발병 한 달 후에 체내에서 바이러스가 빠져나가는 시점이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만 철저하게 방역과 이동제한을 한다면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축산 종사자 및 관련업계에 구제역에 관한 철저한 교육과 동시에 새로운 구제역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해야한다.”
그는 앞으로 방역고취를 위해 축산 종사자에 대한 교육활동이 중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구제역 이전에도 상황에 따른 매뉴얼이 존재했지만 유명무실 했다”며 이번 구제역을 발판삼아 새로운 매뉴얼을 제작하여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농가들의 적극적인 협조 아래 방역교육을 실시하고 농가뿐만 아니라 관련업계 종사자 모두 교육을 실시하면 구제역 재발 시 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교육내용으로 사전 예방조치, 해외입출국시 주의점, 의심축 발생 시 대처법 등 상황마다 자세한 내용을 다뤄줄 것을 주문했다.
“현재 재기를 위한 농가들이 제일 궁금한 것은 2차 보상금의 지급시기이다.”
전 위원장은 “살처분 농가의 1차 보상금은 이미 사료업체 등에게 외상값을 지불하는데 모두 사용했다”며 재입식 등을 위해 정부가 하루빨리 2차보상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살처분농가의 수익 재발생시까지 생계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재입식 후 출하하기 까지는 약 2년이 소요된다”며 이 기간 동안 수입이 없는 농가들을 위해 정부에 지원 요청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제역은 양돈농가 뿐 아니라 관련 산업 모두 영향을 미친다. 남일 보듯 하지 말고 한배를 탄 동지로 생각하면서 서로서로 힘을 합쳐야한다.”
전 위원장은 “구제역 이전 사육두수를 조기에 회복하는 것”이 재건위원회의 목표이며 이를 위해 양돈과 관련된 모든 부분의 역량을 집중해 대처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그는 “양돈 관련업계 종사자 모두 900만두 회복의 목표를 위해 절치부심 해야 한다”며 양돈산업 재건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