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축산 공직 ‘문(門)’ 넓혀야
[기자의 시각] 축산 공직 ‘문(門)’ 넓혀야
  • by 김현구

지난해 ‘2022 차세대 축산리더 아카데미’가 개최되면서 한돈업계의 큰 반향을 일으켰다. 행사를 통해 현재 축산 전공 학생들의 진로 및 축산 미래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행사는 한돈업계가 축산인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현장에서 필요한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농장 실무경험과 직무훈련, 멘토링 등을 지원했다. 아카데미에 참석한 학생들은 직접 양돈장에서 실습하면서 양돈장 운영, 관련업계 진출 등 졸업 후 진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이들 학생 중 지자체 및 공직에 대한 진로 의사는 없었다. 왜 그럴까?

이는 대학부터 중앙 조직까지 이어지는 양돈 아카데미 사다리가 실종된지 오래됐기 때문이다. 2000년초 만해도 이렇지 않았다한다. 축산국에 5개과(課)과 업무 중 4개과가 축산부서였고 축산 전공 출신자가 많았다. 방역담당은 1개과였다. 지금은 방역은 국(局)으로 확대 개편됐고 과(課)도 3개나 된다. 축산국은 3개과로 줄었다.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전국 시군에서 축산을 공부하고 축산업무를 수행하는 공직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많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대다수 축산과를 수료한 인력은 공직보다는 관련업계로 진로를 택하고, 정작 축산 비전공자가 축산 행정을 도맡고 있다. 즉 현재 축산 행정을 다루는 축산 정책국의 인력 대다수는 대학에서 축산을 전공하지 않은 공직자가 부지기수다.

이에 정부 정책이 진흥보다는 방역 중심으로 변화한 이유 중에 하나다. 결국 정부 정책이 변화기 위해서는 축산을 전공한 인력이 정책을 맡아야 한다.

따라서 축산 전공이 공직에 입문할 수 있도록 문(門)을 넓혀야 공직자 스스로가 축산을 이해하며, 농가들로부터 탁상행정이라는 비판도 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