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동물성단백질 ‘안보’ 무시 말라
[칼럼] 동물성단백질 ‘안보’ 무시 말라
육류 소비 갈수록 쌀보다 늘 전망
국가 차원서 세계곡물값 급등 봐야
  • by 김오환

지난주 세계은행은 “3년간 식량과 에너지 가격은 상승할 것”이라고 언론이 보도했다. 밀 보리 옥수수 대두 등 곡물 가격은 크게 오른 반면 쌀 가격 움직임은 미미하다. 설상가상으로 세계 3위 밀 생산국인 인도가 밀 수출을 금지하고 나섰다. 밀은 빵 라면 과자 등 주요 원료다. 빵을 주요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는 국가는 밀 가격이 안정돼야 가정이나 나라 모두 평안하다.

한국도 이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유럽이나 아프리카 북부 국가만큼 크지는 않다. 밀보다 쌀이 주(主)소비여서다. 20년 기준 1인당 쌀 소비량은 57.7kg이다. 밀 소비량은 19년 기준 34.2kg이다. 쌀의 67% 수준이다. 따라서 밀값이 상승한다 해도 튀니지나 이집트처럼 ‘난리’ 나지 않는다.

문제는 옥수수 대두 등 사료곡물의 가격 상승이다. 밀 가격이 오르면서 덩달아 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것을 먹고 자란 가축의 육류값이 더 걱정된다. 20년 기준 1인당 육류 소비량은 54.3kg로 쌀 소비의 94% 수준이다. 그런데 더욱 염려되는 것은 갈수록 육류 소비는 증가할 여지가 높아서다. 농촌경제연구원도 그렇게 전망했다.

알다시피 육류는 인간에게 필요한 동물성단백질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육류를 섭취해야 만이 골격이 커진다. 일본이 메이지 유신 이후 육류섭취를 허용하면서 일본인 키나 체중 등이 커졌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해주고 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1970년대 후반 축산진흥정책에 따른 육류 확대 공급과 밀 소비 급증이 맞물리면서 한국인 체구도 많이 달라졌다. 서구인과 맞서게 됐다. 이제 한국 국민에게 있어 동물성단백질 안정적 확보는 아주 중요한 과제가 됐다. ‘동물성단백질’ 안보란 주장이 자연스럽고 설득력있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의 대응은 미흡하다.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간과하고 있다. 육류의 주원료인 사료곡물값이 급등했음에도 정부는 사룟값 이자 보전(63억원 책정)등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사료곡물 해외 재배 등 원대한 계획도 세우지만, 이는 현실성이 떨어진다. 국가가 나서도 어려운 판에 단체나 몇몇 회사들이 해외에서 사료곡물을 재배, 수입한다는 것은 듣기 좋은 ‘말’에 지나치지 않는다.

그런 돈이 어디 있겠고, 만에 하나 곡물이 폭락할 경우 단체나 개인이 그 피해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재배한다 해도 국내 사용량의 ‘새 발의 피’ 수준이다. 그래서 국내 업체들은 해외 시황을 면밀이 분석하고 미리미리 선물로 구매, 대응하고 있다. 이것도 지금처럼 강세일 경우에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육류 소비는 국민 건강의 동물성단백질 안보와 직결된다. ‘안보’는 개인 중심이 아니다. 국방안보처럼 국가가 나서서 보호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정부는 그런 관점에서 사료곡물값 상승을 봐야 제대로 된 정책과 대책을 세울 수 있다. 간과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