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탈원전, 원전재개 그리고 삼겹살 소비
[기자의 시각] 탈원전, 원전재개 그리고 삼겹살 소비
  • by 임정은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이 탈원전 기조를 뒤집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다시금 원전이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시작될 당시에도 또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많은 찬반과 파급력에 대한 서로 다른 주장과 의견이 대립해 왔다. 그런데 다른 건 모르겠지만 탈원전이 부른 확실한 변화 한 가지는 알 것 같다. 인구 감소, 지역 상권의 몰락 등 탈원전이 지역 경제 침체를 가져왔다는 점이다. 뜬금없지만 탈원전이 삼겹살과 접점이 생기는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탈원전 이후 월성 1호기가 조기 폐쇄되고 신한울 3‧4호기 등 신규 원전 6기의 건설이 취소됐으며 신한울 1호기와 2호, 5호 등 신규 원전들의 완공도 줄줄이 늦춰졌다. 원전 산업매출은 16년 27조4천513억원에서 19년 20조7천317억원으로 줄었다. 한 산업의 매출 감소는 곧 그에 딸린 일손 감소로, 이는 또 이들이 먹여 살리던 인근 주변 상권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서민들, 노동자들의 대표적 먹거리 삼겹살도 그 여파를 피해갈 수는 없었을 것이다. 퇴근 후 삼삼오오 모여 소주 한잔에 삼겹살을 안주 삼던 소비자들이 떠나간 셈이다.

한국소비자원이 조사 발표하는 지역별 외식가격 통계 자료를 보면 서울의 평균 삼겹살 가격은 21년 기준 1만6천900원으로 16년보다 12%, 17년에 비해서도 4.2% 올랐다. 그런데 경남은 16년보다 3.9% 올랐고 17년과 견주면 되레 1.1% 낮았다. 경북 지역은 이보다는 더 오르긴 했지만 경남 지역의 경우 거의 전 지역 가운데 가장 상승폭이 적었다. 경남 창원에 위치한 두산중공업은 탈원전 이후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했다.

이를 두고 전적으로 탈원전 때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또 한 지역의 삼겹살 가격이 한돈산업 전체로 보면 대수롭지 않은 일 일수 있다. 그러나 침체된 지역 경제와 그로 인한 돼지고기 소비의 손실이 그려지는 이상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최종 소비단계의 수요는 지속가능한 한돈산업의 가장 기본 조건이다. 이점이 좀 다른 면에서 원전 정책의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