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곡물가 시대 중요 지표 FCR⑤] 사료 버려지는 양만큼 FCR도 악화
[고곡물가 시대 중요 지표 FCR⑤] 사료 버려지는 양만큼 FCR도 악화
허실 3%=FCR 0.1=사료비 6,200원/두 차이
급여량, 바닥 30~40% 덮일 정도가 적당
FCR 개선 위해 급이기 점검 관리는 필수
  • by 양돈타임스
정영철 양돈PM(주)팜스코
정영철 양돈PM
(주)팜스코

이제까지 고곡물가 시대에 FCR, 사료 요구율이 수익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라는 사실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소들 및 그 경제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늘은 매우 중요하지만 한돈농가에서 놓치기 쉬운 두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사료허실이 그것이다.

사료허실은 말 그대로 허실이 되는 양만큼 손실이 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FCR도 악화 되는 요소다. <사진1>처럼 사료를 완전히 넘치도록 주는 경우는 드물기는 하지만 반대로 적절한 급이기 관리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2>처럼 바닥면의 30~40%만 차지하도록 관리하는 경우도 많지 않다. 급이기 바닥이 보이지 않도록 급여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허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지만 돼지가 사료를 골라먹는 경우가 많아져 더욱 허실이 증가한다.

사진 1. 잘못된 급이기 관리의 예
사진 1. 잘못된 급이기 관리의 예
사진 2. 적절한 급이기 관리의 예
사진 2. 적절한 급이기 관리의 예

게다가 많은 농장에 설치되어 있는 원형 습식 급이기의 경우, 물과 사료가 개어져 사료가 더 빠르게 변패하거나 이를 우려해 사료를 일부러 퍼내어 버려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과연 이런 허실은 얼마나 발생하게 될까?

미국의 저명한 양돈저널 Pig International의 2007년 자료를 보면 비육돈 구간 사료의 최소한 10%가 허실로 낭비된다고 한다.

정상적인 경우의 출하 두당 총 사료 요구율이 3.0이라고 가정하고 평균 사료단가가 600원/kg이라고 가정하면, 허실률에 따른 두당사료비와 두당허실 사료비는 [표]와 같다. 농장의 관리 상태에 따라 3%수준의 사료 허실 차이는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 3%의 사료허실 차이가 사료 요구율 0.1에 해당하며 두당 사료비로는 6천200원에 상당하는 손실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의 원고를 함께 해 왔다면 사료 요구율 0.1의 차이는 사료단가 33원/kg에 해당할 수 있음을 기억할 것이다.

사료허실과 FCR 및 두당 사료비
사료허실과 FCR 및 두당 사료비

사료 허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적절한 급이기 관리와 함께 급이기 주변의 바닥면을 막힌 구조로 만들어 급이기 밖으로 사료가 넘치더라도 돼지가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한 고무패드형 장치도 시중에 있지만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적용이 어렵다. 이럴 때는 적용 후 빨리 굳어 All-Out후 재입식 사이에 시공이 가능한 그라우트 시멘트를 활용할 수 있다.

사료허실은 간과하기 쉬운 요소임에도 농장의 사료 요구율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지금 돈사에 들어가 급이기를 점검해 보자. 만약 급이기 바닥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