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양돈과 '탄소 중립'
[칼럼] 양돈과 '탄소 중립'
사육 위축으로 이어질지 우려
친환경노력, 도시민 공감 유도
  • by 김오환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축산분야의 ‘탄소 중립’에 본격 시동걸었다.

‘탄소 중립’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제로(0)로 하는 것임으로 이산화탄소 발생과 관련된 농축산분야의 온실가스 등을 줄일 방침이다. 농축산부는 이를 위해 축산의 경우 적정 규모 사육, 양질의 조사료 공급 확대, 저메탄 사료 개발 보급 등을 추진키로 했다. 또한 가축분뇨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시의적절하고 바람직한 길이다. 문제는 이러한 정책 추진이 축산업, 특히 양돈업위축으로 이어질지 우려된다는 점이다. 환경과 관련된 말만 나오면 양돈을 타켓으로 삼아서다. 분뇨, 냄새, 동물복지 때 정책을 보면 그랬다.

이번 ‘탄소 중립’에서도 그런 느낌이다. ‘적정 규모 사육’ 정책이다. 그동안 제기됐던 ‘양분총량제’니 ‘공익형 직불제’가사육 두수와 직간접 관련돼서다. 그런 정책은 두수 감축을 불러와 자급률 하락, 산업으로서 지위 및 역할 저하, 사료 동물약품 기자재 등 관련 산업의 위축및 퇴보를 초래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사실 양돈 등 축산업이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많지 않다. 아주 극소치다. 농업 분야의 연간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2천40만톤이다. 이는 국내 전체 배출량 6억8천만톤의 2.9%다. 그 가운데 축산의 경우 가축분뇨 420만톤, 가축 장내 발효과정에서의 440만톤 등 총 860만톤이다. 벼 재배 6백만톤, 농경지 토양 580만톤에 견줘보면 축산은 적다. 석탄 등 공업과 비교하면 축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조족지혈 수준이다. 어쩌면 국내 양돈업이 대규모 공장 한곳 수준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럼에도 마치 큰 죄인 인양 매도당하고 현실보다 침소봉대(針小棒大)되고 있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처지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돈업도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 적극 동참 해야한다. 사료 효율을 높여 분뇨 발생과 가스 배출을 줄이는데 노력했으면 한다. 출하 전 절식을 지키는 것 또한 방법이다. 특히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분뇨 자원화와 그 이용에 방해되는 원인을 철저히 분석, 활성화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논리적으로 도시민들을 이해시키거나 공감하도록 나섰으면 한다. ASF, AI 등 질병 발생이나살처분 등 부정적 현실보다 긍정적 측면을 중점 홍보했으면 한다. 양돈 등 축산업이 낮은 비용을 투입, 해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생산, 국민에게 공급하는 아주 중요한 산업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냄새 저감 및 제거 등 환경 개선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는 사실도 널리 알렸으면 한다. 도시민의 생활 안정을 위해 ‘수입 자유화’라는 희생을 무릅쓰면서 고군분투, 경쟁력을 높여나가고 있는 삶의 치열한 현장 같은 것을 소개했으면 한다.

이제 친환경 양돈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고 숙명이다. 농가 혼자만의 힘으로만 할 수 없다. 농가, 관련산업, 정부가 삼위일체 되어 나서야 한다. 이럴 때 비로소 양돈은 ‘탄소 중립’ 정책에서 비켜설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