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돈 소비 저조, 문제다 문제
[칼럼] 한돈 소비 저조, 문제다 문제
근본적인 차원서 접근, 방안 찾아야
소비 활성화에 양돈인 모두 매진을
  • by 김오환

최근 한돈 값을 보면서 깊은 고민에 빠졌다. 약세의 한돈이 양돈 PM 주장처럼 연말연시 새로운 한돈 비수기인지, 아니면 전체적인 한돈 소비 저조인지 명확하게 구분, 판단내리기가 어정쩡해서다. 분명한 점은 한돈 소비가 과거와 다르게 진행되고 있고, 과거보다 안 되고 있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 양돈 PM은 “만에 하나 현재의 저돈가 구조가 수입 돈육 등 외부 변수보다 국내 소비 저조라는 내부 문제라면 정말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한국의 양돈산업을 전반적이고 근본적으로 전면 재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자 역시 동감했고, 다시 한번 한국 양돈업의 현실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이와 달리 최근 한돈 약세를 공급 측면에 봤다. 농축산물은 10%만 생산량이 늘어나면 하락하고 10%만 부족하면 오르는 게 가격의 특성이다. 전형적인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가격 구조다. 한돈이 그렇다면 다행(?)이다. 공급을 줄이면 다시 올라갈 수 있어서다. 2020년 중국의 돈육 수입 증가로 세계(미국) 돈가가 상승해 한국의 돈육 수입이 줄면서 총 돈육 공급량이 감소, 한돈 가격 강세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다면 공급 감소로 인한 한돈 가격 강세가 바람직한가? 아니면 소비 활성화에 따른 강세가 바람직한가? 후자가 올바른 산업 구조다. 하지만 그런 산업은 많지 않다. 수도 없이 말했듯이 판매되지 않은 제품은 아무리 좋아도 소용이 없다. 망할 수밖에 없다.
물론 돼지고기는 사람들이 먹지 않을 수 없음으로 산업이 없어질 수 없다. 쪼그라들 뿐이다. 그럴 경우 양돈인들의 수익 몫은 줄어들고, 생산성 낮은 농장은 퇴출이 불가피하다. 농장 수 감소로 산업의 역할은 축소돼 유능한 인재 유입이 줄면서 경쟁력은커녕 명맥만 유지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산업에 있어 소비기반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소비기반은 노력 없이 조성되지 않는다. 그냥 얻어지지 않는다. 소비자들의 취향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갈수록 까다로워지고 있다. 전술과 전략이 과거와 달라야 한다. 지속적으로 소비자와 유대 관계를 유지하면서 끌고 가야 한다. 새롭고 다양한 유형을 제시. 자연스럽게 소비를 유도해야 한다.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찾고 공부하고 연구하고 개발해야 한다. 될 수 있으면 그런 방안을 ‘타인’에게 의지 않고 스스로 찾아내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성공할 수 없고 성공한다 해도 오래 지속할 수 없다.

아시다시피 한돈 소비가 재작년 추석 이후를 기점으로 줄면서 한돈 가격의 기(氣)가 살아나지 않고 있다. 그런 까닭 때문에 많은 양돈전문가들이 새해 한돈을 작년보다 좋게 전망하면서도 선뜻 웃지 못하고 있다. 새해 한돈 소비 활성화에 양돈인 모두 매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