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집돼지 정책 구분돼야
멧돼지-집돼지 정책 구분돼야
멧돼지 ASF 검출로 방역 강화
행정조치 과도, 농가 피해 우려
협회, 이원화된 정책 정부에 요구
  • by 김현구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2019.12.06.)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2019.12.06.)

최근 야생멧돼지에서 ASF 검출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또 다시 경기 북부 지역 방역을 강화하면서 살처분 농가들의 재입식은 요원해지고 있다.  농가들은 멧돼지와 사육돼지를 구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원화된 정책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7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에서 발견된 폐사체와 서면에서 포획된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발견 및 포획된 곳은 각각 민통선에서 약 13킬로미터 및 약 3킬로미터 남쪽이며 광역울타리의 안이다. 이로써 최근 멧돼지에서 ASF 발생은 총 41건으로 집계됐다.

이에 농축산부는 야생멧돼지에서 ASF가 확인된 즉시 10km 방역대 내 58농가(중복 5호)를 포함한 경기‧강원 전체 양돈농가에 대해 문자메시지를 통해 해당 사실을 알리고, 농장 내부 소독, 울타리 등 차단방역 시설 점검을 실시하도록 조치했다. 또한 경기 북부 지역에 ASF 방역 초소를 다시 운영하는 등 방역 강화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양돈농가들은 현재처럼 야생 멧돼지와 사육돼지의 방역 정책을 구분하지 못하면 살처분 농가들의 재입식 무기한 연장 및 과도한 행정조치로 인해 농가들의 방역 포기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야생 멧돼지 전문가가 야생 멧돼지 ASF 발생과는 별개로 재입식을 허용해도 된다는 주장을 펼쳐 주목받고 있다. 최근 양돈수의사 연례 세미나에 참석한 이성민 서울대학교 연구원은 “겨울철은 짝짓기 계절로 수컷 멧돼지가 암컷을 찾아 깊은 산으로 들어가는 만큼 포획이 어렵게 되고, 강원도 지역에 눈이 많이 내려 폐사체를 찾기도 힘들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오래 생존할 여건이 형성된다”며 “내년 2월까지는 야생 멧돼지서 ASF 확산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멧돼지에 대한 정리를 끝내고 양돈 농가의 재입식을 허용하려면 농가는 앞으로 절대로 재입식 할 수 없을 것”이라며 “멧돼지의 농가 접촉을 차단할 방법을 마련한 후 멧돼지와 상관없이 재입식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돈협회는 최근 이사회서 멧돼지와 사육돼지를 구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원화된 정책을 정부에 요구키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