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안전한 한돈]인증제도 통합해 체계적 관리 필요(1/4)
[신년특집-안전한 한돈]인증제도 통합해 체계적 관리 필요(1/4)
  • by 양돈타임스
친환경 시대, 한국 양돈이 가야할 길

[신년특집-안전한 한돈]인증제도 통합해 체계적 관리 필요

항생제 사용량 선진국보다 많아
‘성장촉진제’도 은밀히 사용 중
비육사 부족해 밀집 사육 불가피
출하 계획 빗나가면서 악순환 반복
품질 저하 초래, ‘안전한돈’ 무색도
잔반 급여 농가도 관리 ‘사각지대’
종편에 방영시 이미지 실추 우려돼

최근 세계적으로 ‘원 헬스 뉴 웨이브(One health, New wave)’ 바람이 불고 있다. 이 말은 사람, 동물, 생태계의 건강이 하나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한 세상 구현을 위해서는 이를 묶어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축산의 경우 청결한 축산환경 조성을 통해 소 돼지 등을 사육, 건강하게 길러진 축산물 섭취를 통해 결국 사람도 건강해지므로 사람·동물·축산환경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축산은 최근 구제역·AI 다발, 작년 계란 살충제 파동까지 겪으면서 국민들은 축산업 환경에 의문 부호를 달기 시작했다. 이 같은 환경에서 자란 축산물 섭취가 국민 건강에도 저해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좁혀서 한돈산업은 일부 농가에서 항생제 사용, 밀집 사육, 잔반 급여를 통한 사육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국민들은 친환경에서 사육된 안전한 한돈 생산을 농가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살충제 계란’ 파동 반면교사=지난해 계란 살충제 파동이 전국을 강타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은 계란에 대한 안전성을 염려해, 소비도 크게 줄이고 자급률 100%를 기록하고 있던 국내 계란시장에 수입도 일부 허용했다. 특히 정부가 계란 살충제 파동을 계기로 축산업을 전반적으로 재점검, 공장식 축산에서 동물복지형 축산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했다.
이에 따라 양돈장도 계란 파동 사례에 비춰 반면교사(反面敎師)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표적으로 양돈장들의 항생제 사용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항생제는 감염성 질병을 예방하고 동물의 성장을 촉진해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며, 축산물의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장에서 사용돼왔다. 그러다 항생제 내성을 이유로 지난 2011년 배합사료 내 항생제 첨가 전면금지, 지난 2013년 수의사처방제 실시로 사용량이 줄었으나, 여전히 선진국보다는 많은 양이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항생제 사용이 국민들에게 불신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성장 촉진제의 경우 한돈업계의 사용 자제 자구 노력에도 현재도 일부 농가가 은밀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향후 문제점으로 대두될 소지가 많다. 이에 따라 업계, 수의사, 농가가 합심, 항생제 사용을 줄이기 위한 자정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항생제 사용은 ‘치료’의 목적에만 사용해야 하고, 성장 촉진 등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농가들의 양심적인 사육 노력도 필요하다. 성장 촉진제는 사용 농가에는 이로울 줄 모르나, 전체 농가에는 해(害)가 돼 결국 한돈산업의 피해를 줄 화살로 돌아올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근본 원인 밀집 사육이 해소돼야=농장의 모든 질병 근본 원인은 밀사다. 안기홍 양돈연구소장에 따르면 “자돈-비육사의 사육 능력은 모돈의 12~13배로 권장되고 있으나, 최근 국내 양돈장 28곳을 파악한 결과 이들 농장은 권장 수준보다 낮은 10.4배로 나타나 비육사가 크게 부족해 밀사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즉 국내 사육 환경에서 밀사는 비육사가 부족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밀사는 사육 환경을 악화시켜, 도축 이후에도 품질저하를 불러와 안전한 한돈 생산에 부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밀사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밀사의 원인은 국내 사육 환경 특성상 비육사가 부족한 원인이 가장 크며, 이는 농가들이 출하 계획 대비 일정한 물량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016년 한돈팜스 전산 성적 분석 자료에 따르면 농가들의 월별 출하두수 최고, 최저 차이가 20% 미만이라는 비율은 6%로 극히 적게 나타났다. 반면 월별 출하두수의 차이가 연간 평균 두수 대비 1.5~2배 이상인 농가 비율은 50%까지 차지했다. 즉, 대부분의 농가들의 월별 출하두수가 평균에 비해 크게 오락가락하고 있으며, 월 일정하게 출하하는 농가의 비율은 극소수라는 것이다.
이 같이 월별 평균 출하두수가 크게 차이 나면, 비육사의 공간 배분도 어려워져 결국 밀사를 초래하는 기간도 늘어난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후보돈 입식→사육두수 증가→비육사 부족→밀사→출하→밀사 해소→다시 후보돈 입식’ 등 비육사가 확보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월별 출하두수가 크게 변동하면서 밀사 악순환의 고리가 만들어 진다. 이를 끊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계획적인 후보돈 입식을 통한 적정 사육 유지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주간, 월간, 계절의 기복 없이 일정한 물량을 정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관리 사각지대 농가 계도해야=방송법의 개정으로 지난 2011년 종편 방송들이 생기면서 채널도 다변화되고, 개인 간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송국에서 쏟아내는 뉴스, 특히 자극성 있는 프로그램이 방영되면 SNS를 통해 널리널리 퍼지고 있다. 이 같이 일부 종편 방송들은 시청률 상승을 위해 축산의 경우 관리 사각지대의 농가들을 취재해 방영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축산의 보편적인 환경으로 착각을 불러 일으켜 축산업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3년 종편 방송 한 곳에서 잔반을 돼지에게 급여 하고 있는 한 농가를 여과 없이 방영하면서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 불결한 양돈환경이 전체 농가 환경으로 호도될까 양돈농가들은 노심초사했다.
양돈업에도 관리 사각지대 농가가 존재한다. 주로 1천두 이하의 소규모 농가로써 잔반을 급여해 키우는 농가도 있고, 분뇨를 제때 치우지 않는 농가들도 존재한다. 일부 농가들이지만 이런 농가들이 방송을 통해 국민들에게 여과 없이 보여 질 때 한돈산업은 때 아닌 홍역을 겪는다. 이 같은 농가들도 한돈산업의 일부 구성원으로 언론에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돈산업의 시한폭탄으로 다가와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반농가 등 관리 사각지대 농가에 대한 현황 조사 및 파악을 통해 지속적으로 계도, 한돈에 대한 이미지 실추를 사전에 방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안전 한돈 생산, 결국 농가부터=국민들에게 신뢰 받는 한돈 생산을 위해서는 결국 농가들의 자구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 의사들이 환자를 다루는 윤리 선언이 있는 것처럼, 농가들도 한돈 생산을 위한 ‘윤리 선언’을 통해 한돈은 깨끗한 환경에서 관리 받고 자라고 있다고 국민들에게 믿음을 심어줘야 할 것이다. 그래야 국민들은 대부분의 농가들이 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농가들도 더욱 더 안전한 한돈 생산에 매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전체적인 농가들의 윤리 선언을 바탕으로 친환경 인증 제도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축산물 관련 인증제도가 다양해 농가 및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러 개로 나눠져 있는 축산물 관련 인증 제도를 통합해 체계화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도 점검 및 개선을 통해 농가들의 친환경 사육 노력을 뒷받침 하고 국민들도 친환경 인증 제도를 알기 쉽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