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국민친화 양돈장]생산성 이루면 친환경·복지도 페달(1/4)
[신년특집-국민친화 양돈장]생산성 이루면 친환경·복지도 페달(1/4)
  • by 양돈타임스
친환경 시대, 한국 양돈이 가야할 길

[신년특집-국민친화 양돈장]생산성 이루면 친환경·복지도 페달

양돈업 국민 시선 ‘양극’
한돈 소비 1위, 민원도 1위
문 정부 출범 후 정책 변화
생산성 제고서 복지로 전환
“외국 종돈에 외국산 사료
원료로 외국인이 돼지 사육,
수입 돈육과 뭐가 다른가”
이유 후 육성률 개선 안돼
MSY 18마리서 맴돌아


2014년 하반기 이후 캠핑 붐이 일어나면서 돼지고기 저지방 소비가 크게 늘고, 이후 저탄고지(底炭高脂) 식이 요법까지 유행하면서 돼지고기는 최근 전성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돼지 값은 4년 연속 고돈가가 형성되면서 한돈산업은 호황을 맞고 있다.
이 같이 한돈은 소비자들에게 큰 환영을 받고 있지만 한돈농가 및 한돈업은 국민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분뇨 냄새 문제 등 사양 환경 등이 지속적으로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 이에 한돈업계는 국민들의 한돈 사랑에 발맞춰 한돈업 역시 국민 친화 산업으로 발맞춰 나가는 노력을 수반해야만 한돈 소비도 지속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들 한돈은 ‘선호’ 양돈장은 ‘글쎄’=최근 농촌경제연구원의 2017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육류 중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는 종류는 ‘돼지고기(77.4%)’ ‘쇠고기(10.4%)’ ‘닭고기(9.5%)’순인 것으로 나타나 돼지고기가 국민 단백질인 것으로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육류 중 돼지고기가 압도적으로 국민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농장에 대한 시선은 점점 부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왜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을까? 이는 사육 환경에 있다. 최근 분뇨 냄새로 인한 양돈장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있는 영향이 가장 크다. 예전부터 분뇨 냄새는 일상적 현상이었으나 최근 농촌 구성원 변화 및 주민 의식 수준 향상에 따라 분뇨 냄새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한 원인으로 인식되면서 사회 문제로까지 발전됐다. 특히 2010년 이후 정부 기관 지방 이주 가속화 및 귀농귀촌 가구가 증가하면서 농촌에 새로운 인구가 크게 유입, 이주민들은 농장에서 나는 냄새에 대해 끊임없이 불만을 제기하고 시·군청에 민원을 지속적으로 넣으면서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는 형국이 형성되고 있다. 앞으로 한돈산업이 국민 친화 산업으로 가기 위해서는 깨끗한 농장에서 친환경적 사양관리를 통해 국민에게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수입 공세 속 한돈 차별화가 중요=지난해 돼지고기 수입량이 36만톤을 넘는 등 3년 연속 30만톤을 넘어서며 수입 30만톤 이상 시대가 고착화됐다. 작년 한돈 생산량이 85만톤인 것을 감안할 때 국내 생산량의 42%가 수입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이 돈육 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자급률도 하락, 향후 국내 생산 기반도 축소되지 않을까 농가들은 염려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사육을 통한 복지 양돈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로 기존의 생산 기반이 더욱 더 축소될 여지가 다분하며, 그 틈을 파고들어 수입 돈육이 더 증가할 수 있어 우려된다.
최근 양돈 2세와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이 젊은 양돈인은 향후 한돈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수입 돈육과 한돈과의 실질적인 차별화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나라 종자는 외국, 사료 원료도 외국, 심지어 기르는 사람도 외국인이 많아 우리나라에서 기르는 것 외에는 수입 돈육과 특이점이 없다”며 “수입 돈육 공세가 계속되면 국민들의 한돈에 대한 충성심도 약해져 속히 수입 돈육과의 확실한 차별점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라고 고민했다. 이 같이 젊은 양돈인의 고민은 모든 양돈인의 고민 중 하나일 것이다. 수입육과 지속적인 차별화를 발굴하고, 상품 개발에 매진해야 국민들은 맛과 안전성이 담보된 한돈을 지속적으로 구입하며, 한돈산업도 국민 친화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동물복지 양돈장 사회적 합의를=지난해 5월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축산 정책도 일대 변화를 맞게 된다. 기존 생산성 위주 정책에서 동물복지형 축산 정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가금농가를 시작으로 향후 양돈농가까지 복지 농장으로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양돈업의 경우 복지 농장까지 많은 벽을 넘어야 하며 ‘한국형 복지 농장’에 대한 기준도 여전히 모호하다. 대표적인 복지 농장의 기준은 스톨 사육 제한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에 따르면 돼지는 무리 생활에서 서열을 이루어 생활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군사 사육시 서열투쟁을 하게 되면 부상과 스트레스로 인해 분만성적 등 생산성적 저하가 불가피, 인간들이 바라본 복지 기준이 돼지에게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톨 규제 도입은 일정 규모 이상 농가가 축사시설 현대화사업을 지원 받아 신축할 경우 권장사항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군사 공간을 확보할 경우 기존 축사보다 면적이 늘어나게 되나 현재 전국 지자체가 적용 중인 가축사육제한 조례로 인해 축사 면적을 늘리기가 사실상 어려워 동물복지 농장 추진에 오히려 조례안이 장애물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 양돈으로 가기 위해서는 정부가 규제보다는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법 완화를 통해 복지 양돈장 확대를 권장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국민들 역시 복지에 대한 눈높이 조정을 통해 현실적인 복지 수준을 양돈농가에게 요구해야 할 것이다.
■생산성 향상이 복지 농장의 지름길=최근 몇년간 농가들의 생산 성적이 정체되면서 국내 양돈장 평균 MSY는 18두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이유는 농가들의 ‘이유 후 육성률’이 개선되지 못한 때문이다. 이유후 육성률 저하의 원인은 대부분 농장들에서 질병이 상재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 깊게 들여다보면 그동안 한국 양돈업은 규모의 양적인 측면에서 관심이 많았지 세밀한 측면, 질적인 측면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았다. 농장 모돈 두수를 기반으로 한 사양관리에 매진했지, 비육돈에는 관심이 소홀했다는 점이 생산성 정체의 원인인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국 양돈산업이 친환경으로 초점이 옮겨가면 규모의 측면보다 정밀함으로 초점이 옮겨져 두당 생산비를 낮추기 위한 경쟁으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 예방 관리 및 돼지 개체별 증체 편차 등 정밀한 사양 관리를 통해 이유 후 육성률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이 이유 후 육성률이 제고되면서 생산성이 상승하고, 두당 생산비가 낮아질 때 농가들은 친환경 사육 등 질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면서 양적인 측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양적인 시대, 무리하게 후보돈 입식을 통해 출하두수는 증가시키는 사양관리 보다 정밀한 관리를 통해 출하두수를 높여 두당 생산비를 낮추는 노력이 앞으로 농가들이 가야하는 길이다.
정리하면 양돈업이 복지 농장 등 친환경 농장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농가들의 생산성 뒷받침이 필수조건이다. 이를 기반으로 일반 농장에서 복지 농장 및 친환경농장으로 변화를 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친환경으로의 변화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돌고 돌아 다시 국내 양돈장들의 생산성 제고 및 생산비 저감 노력이 한돈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